본문 바로가기
심리학 관련

존보울비의 애착이론

by 공부하는여자90 2023. 5. 3.
반응형

존볼비(=존보울비)

존 보울비는 애착이론의 연구로 가장 잘 알려진 영국 정신과 의사이자 정신 분석가입니다. 그는 1907년에 런던에서 태어나 케임브릿지 트리니티 칼리지에서 교육 받았고 학업을 마친 후 그는 아동 정신과 의사로 일하기 시작하며 영아와 주 양육자 간의 초기 애착 경험의 중요성에 초점을 맞추었으며 이러한 초기 경험이 평생 동안 개인의 정서적, 사회적 발달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이라고 믿었습니다. 또한 건강한 발달을 위해 유아와 보호자 사이의 안전한 애착의 중요성을 강조했습니다. 처음에는 약간의 회의론에 부딪혔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심리학, 정신 의학 및 아동 발달 분야에서 널리 받아들여졌습니다. 그의 작업은 아동발달에 대한 우리 이해를 형성하는 데 큰 영향을 미쳤으며 지금까지도 계속 심리학 분야에서의 연구방법 중 하나로 적용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애착 이론 외에도 다작의 작가이자 연구원이었으며 그의 경력 전반에 걸쳐 수많은 논문과 책을 출한하였습니다. 뿐만 아니라 그는 세계보건기구(WHO)의 정신 건강 부서의 창립자였으며, 영국 아동 복지 정책 개발에 크게 관여했습니다. 그는1990년에 세상을 떠났지만 그의 공헌을 오늘날까지 지속되고 있습니다.

 

애착이론

애착이론은 유아와 보호자 사이의 초기 애착 경험이 아동의 사회적, 정서적, 인지적 발달을 형성하는 방식을 설명하는 틀이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 이 이론은 인간이 다른 사람들, 특히 안정감과 안전감을 제공하는 긴밀한 감정적 유대를 가진 사람들의 사이에서 형성하고자 하는 연결 욕구에 대해 이야기합니다. 그의 이론에 따르면 아동의 애착은 네 가지 범주로 구분할 수 있는데 일단 첫째, 안전한 애착입니다. 이 유형의 애착에서 아동은 보호자와 함께 하면 안전감을 느끼고 주변 환경을 자신감 있게 탐색할 수 있는 에너지가 제공된다고 보았습니다. 괴로워하거나 화가 났을 때 보호자에게 위로를 구하고 보호자의는 아동의 반응을 탐색하고 양육합니다. 둘째, 안정형-회피형 애착입니다. 이러한 유형의 애착을 가진 아동은 괴로워하거나 화가 났을 때 보호자에게 위로를 구하지 않고 보호자를 적극적으로 피하거나 떠나며, 그들이 어딘가에 들렸다가 다시 돌아올 때 역시도 별 감정반응을 나타내지 않았다고 합니다. 셋째, 불안정형-저항형 애착입니다. 이 애착 유형을 가진 아동들은 괴로움을 느낄 때 보호자에게 매달릴 수는 있지만 보호자가 자신을 위로하려고 할 때의 시도들에 저항하기도 합니다. 그들은 보호자와의 상호작용에서 불안함을 느끼기 때문입니다. 넷째, 무질서한 애착입니다. 이 유형의 애착을 가진 아동들은 보호자와의 상호작용에서 일관성이 없고 예측할 수 없는 행동들을 보이는데 방향감각을 상실한다거나 혼란스러워 한다거나 얼어붙어 있거나 하는 비정상적인 행동을 보일 수 있다는 것입니다.

 

초기 애착이론이 비난 받은 이유

존 보울비의 애착이론은 처음 일부 연구자들과 이론가들로부터 비판과 회의론에 부딪혔는데 그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어머니-자녀 관계에 대한 지나친 강조 때문입니다. 일부 비평가들은 존보울비의 이론이 어머니-자녀 관계를 너무나도 강조하고 있으며 다른 양육자의 역할이나 자녀의 애착 경험을 형성하는 더 넓은 사회적 맥락을 적절하게 설명하지 못했다고 주장했습니다. 둘째, 경험적 증거 부족입니다. 일부 연구자들은 존보울비의 이론이 경험적 증거에 의해 뒷받침되고 있지 않으며 그의 아이디어가 실제 연구보다 이론적인 추측에 더 가깝다고 보았습니다. 셋째, 생물학에 대한 지나친 강조입니다. 또한 이 이론이 애착의 생물학적 기반을 너무 강조했다고 보았으며 아동의 애착 경험을 형성하는 환경 요인의 역할을 충분하게 설명하지 못했다고 주장했습니다. 넷째, 기질의 역할을 무시했다는 점입니다. 이 이론이 기질의 개인차와 자녀의 애착 경험을 형성하는 방식을 적절하게 설명하지 못한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럼에도 애착이론은 시간의 시험을 견뎌 왔으며 계속해서 널리 연구가 되었습니다. 그리고 오늘날까지도 정신 의학 및 심리학, 아동발달 분야 등에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