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심리학 관련

노인 심리학의 선구자 로라 카스텐슨에 대해

by 공부하는여자90 2023. 5. 28.
반응형

 

서론

나이가 들어간다는 것은 많은 사람들이 걱정되는 요소 중 하나일 것이라 생각한다. 오늘 이야기 할 로라 카슨텐슨처럼 젊은 시절부터 노년기에 이르기까지의 연구를 진행했던 심리학자들은 우리가 나이를 들어도 사회적, 정서적, 그리고 정신적으로 성숙해질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그녀의 연구 결과를 통해 사람들이 나이를 들어감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는지 어떤 감정적 우선순위를 가지게 되는지, 게다가 우리가 행복하고 만족하는 것 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게 되는지 등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다.

본론

1. 사회 정서적 선택성 이론

로라 카스텐슨Laura Carstensen이 개발한 사회 정서적 선택성 이론은 인간이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시간 관념과 감정적 우선순위가 변화한다는 주제를 중점으로 하고 있으며, 또한 노년에 가까워질수록 시간의 한정성, 감정적 만족의 관계를 형성하는 데 집중하고자 하는 경향이 있음을 주장한다. 이 이론은 시간 관념의 변화, 감정적 우선순위의 변화, 목표 설정의 변화라는 세 가지의 주요 가정을 기반으로 하고 있는데 먼저 시간 관념의 변화에서는 노인기에 가까워질수록 인간은 미래에 대한 시간 관념을 수정하게 되고 시간이 한정되어 있음을 받아들이고 보다 의미 있는 삶을 살아가고자 한다는 것이다. 다음으로 감정적 우선순위의 변화는 긍정적 감정과 경험에 더욱 집중하게 되는 것이 바로 노년기이며, 부정적 감정이나 경험보다 긍정적인 부분들에 더욱 주의를 기울이려고 하는 경향이 있다고 한다. 이러한 변화는 사회적 연결성과 정서적 안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 있다. 마지막으로 목표 설정의 변화이다. 즉 긍정적 경험과 사회적 관계에 집중하기 때문에 성공적인 경험과 관계의 중요성을 강조한다고 볼 수 있겠다. 나이가 든 사람들은 개인적인 성취나 사회적 연결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더욱 중요시하게 된다는 의미라고 보면 되겠다.

 

2. 이외의 공헌

카스텐슨은 장기적인 연구와 실험을 통해 사회정서적 선택성 이론을 확장시켜 다양한 주제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여금 심리학과 노인학 등의 연구 분야에 중요한 인사이트를 제공했다. 또한 노인학 및 심리학에 대한 인식과 이해를 증진시키기 위해 활발한 교육 활동을 수행했으며, 대중들에게 노화에 대한 긍정적 시각과 장기적 성장의 가능성을 알리는 데 기여한 부분도 있다. 뿐만 아니라 관련된 내용으로의 책을 저술하기도 했다. 그 제목은 아래와 같다.

1) Aging and the Good Life(2011): 이 책에서는 노화에 대한 긍정적 시각과 노년 시기의 행복 및 만족을 유지할 수 있는 방법 등에 대해 살핀다. 특히 핵심이었던 사회 정서적 선택성 이론을 기반으로 실생활에서 적용 가능한 실천적 조언을 아끼지 않았다.

2) Social Emotional Aging(2016): 이 책에서는 사회 정서적 선택성 이론을 기반으로 사회적 관계와 감정 조절, 시간 관념의 변화 등을 다룬다.

3) The Oxford Handbook of Emotion, Social Cognition, and Problem Soving in Adulthood(2014): 이 책은 노인 심리학과 관련된 다양한 주제를 다룬다. 본인의 핵심 이론을 포함하는 것은 물론 자신의 연구 결과와 관련된 다른 이론들까지 소개하는 등 노인들의 감정, 사회적 관계, 문제해결능력 등에 대한 이해를 촉진시킨다.

 

3. 한계점

어떤 이론이든 완벽한 것은 없는 것처럼 그녀의 사회 정서적 선택성 이론 또한 그러하다. 

1) 개인의 차이: 대체로 일반적인 경향성을 설명하고 있으나 개인차에 대한 부분을 명확히 하지 못했다. 즉 개인의 성격, 문맥, 문화적 요인 등에 대한 것들을 정확하게 다루지 못했다는 것이다.

2) 사회적 요인 무시: 개인의 감정과 관계에만 초점을 맞추고 있어 사회적 문맥이 개인의 선택과 감정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한 보완이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3) 제한적인 연구: 비교적 새로운 분야이었기에 연구들이 댗체로 제한적이라는 문제가 있다. 이론을 더욱 강화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연구와 실험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4) 역설 및 모순: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긍정적 경험에 집중해야 한다고 주장했지만 부정적 감정이나 경험은 무작정 무시하는 것으로 오인 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좋지 못한 경험이더라도 역설적인 경험이 될 수도 있는 것인데 긍정적인 경험만 무조건적으로 옳다고 말하는 것은 모순이 있다는 것이다.

결론

사회 정서적 선택성 이론은 노화에 대한 중요한 이론 중 하나이지만 몇 가지의 한계가 있고 또 일반적인 경향성을 설명하며 개인차와 사회적 요인 등에 영향을 고려하지 못했다는 한계가 있다. 때문에 이론을 강화시키기 위해서는 이를 검증하는 여러 차례의 작업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회 정서적 선택성 이론은 노화와 관련된 다양한 측면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었으며 노인들의 삶의 질과 행복을 개선하기 위해 실천적 지침을 제공했다는 점에서는 큰 가치가 있다고 할 수 있겠다. 이론을 이해하고 한계를 인식하는 것은 노화에 대한 연구와 심리학의 발전을 위해 중요한 단계이므로 더 많은 연구와 논의를 통해 해당 이론을 발전시키고 보완하는 데 힘쓰는 것이 필요할 듯 하다.

반응형

댓글